본문 바로가기

기계공작7

머시닝센터 프로그래밍 휴지 원점복귀 기계 좌표계 9.2.4 휴지(G04, Dwell) 휴지(G04)은 다음 블록의 실행을 지정하는 시간만큼 쉬는 기능이다. 휴지지령은 G04에 이어서 어드레스 "P(또는 X)" 휴지시간(sec 초)을 지령한다. 휴지는 프로그램 예에서처럼 구멍가공, 카운터보링, 면취 등에 있어서, 구멍바닥에서 공구이동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정삭면을 가공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휴지시간은 일반적으로, 아래의 예처럼 구멍바닥에서 공구가 1회전 이상 회전하는 시간을 지령한다. 또, 어드레스 "X"로 지령할 때는 휴지시간의 소수점 입력이 가능하지만, X축의 이동지령과 구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그 다지 사용하지 않는다. 어드레스 "P"로 휴지시간을 지령한다. 단, 어드레스 "P"에서는 소수점 입력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휴지시간은 1/1000 .. 2023. 7. 7.
CNC선반 프로그램 복합형 반복사이클 가공 7.3.2 복합형 반복사이클 가공 복합형 반복사이클(Multiple repeatitive cycle)은 제품의 형상을 지령함으로써 공구의 경로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며 프로램을 보다 쉽고 간단하게하기 위한 기능이다. 프로그램 작성시 FANUC 시스템 11T와 OT의 지령방식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11T 경우에서는 복합형 고정사이클의 지령블록을 한 블록으로 작성하고 OT의 경우에는 두 블록으로 지령한다. 또한 OT의 Re)값은 도피량을 말하며, 절삭 후 간섭 없이 공구가 빠지기 위한 양을 나타내며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11T 지령방식을 기본으로 OT 지령방식을 비교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내 · 외경 황삭사이클(11T) G71_P(ns)_Q(nf)_ U(Au)_ W(Au)_ D(.. 2023. 7. 7.
CNC선반 프로그램 보정기능 사이클 가공 7.2 보정기능 1. 공구 인선 R 보정(G40, G41, G42) 인선 R 보정 지령에 의해 공구의 절삭 인선부에 있는 인선 R에 의해 생기는 형상오차를 자동 보정한다. 일반적으로 공구의 선단부에는 인선 R(또는 노이즈R)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으로 지령하는 인선위치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이 인선위치를 가상인선이라 부른다. 인선 R의 보정을 하지 않고 가상인으로 지하면, 그림 7. 13처럼 X축 이나 Z축에 평행 또는 수직한 부분에서는 프로그램대로 가공을 하지만, 테이퍼절삭이나 원호절삭 또는 공작물의 회전중심 부근에서는 과소절삭이나 과다절삭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테이퍼 절삭에서는 그림 7. 14처럼 인선 R을 보정한 공구경로 를 지렁할 필요가 있다. 같은 방법으로 원호절삭에서.. 2023. 7. 6.
CNC선반 프로그램 준비기능 위치결정 직선보간 원호보간 원점 복귀 7.1 준비기능(G기능, Preparation function) 준비기능(G기능은 어드레스 G와 함께 00부터 99까지 숫자를 지령하고 (G00-G99) 제어장치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때문에 준비기능이라고 하며, 다음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1. One shot G-code와 Modal G-code의 사용방법 N10 G00 X32.0 Z2.0; G00이 유효 N20 G01 X40.0 Z-2.0; N20-N40 G01이 유효 N30 Z-20.0; N40 X44.0 N50 G04 P500; G04는 이 블록에서만 유효 N60 G03 X50.0 W-2.0 R2.0; G03이 유효 N70 G01 Z-45.0; G01 이 유효 2. 위치결정(GOO) 위치결정은 GOO으로 지령하며 이동지점까지의 좌표.. 2023.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