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쟁2

시장세분화와 표적마케팅 제품 포지셔닝 마케팅믹스 전략 제4절 제품 포지셔닝 일단 표적시장이 선정되면, 기업은 그 표적시장에 대응하는 제품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제품 포지셔닝(product positioning)이란 고객들의 마음 속에 경쟁제품(상표)과 관련하여 자사의 어떤 제품 컨셉트를 개발하고 유지시키고자하는 마케팅관리자의 결정이나 활동을 말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장에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consumer perception)이다. 효과적인 제품 포지셔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품의 특성과 관련한 소비자의 지각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마케팅관리자는 표적시장의 고객들이 자사가 경쟁사와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가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기업의 이미지와 제품을 설계해야 한다. 포지셔닝은 기업이 선정한 세.. 2023. 7. 11.
마케팅 경제적 환경 소득 소비자의 소비패턴 경쟁구조 2.2 경제적 환경 economic environment 시장은 단순히 사람들의 집합체만으로는 형성될 수 없고, 그들의 구매력과 구매의사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장은 축적된 수요(aggregated demand)라고 할 수 있다. 수요의 크기는 소비자의 수와 소득의 크기에 의존한다. 경제적 환경은 소비자의 구매력과 구매의사 소비패턴 및 전반적인 경제조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말한다. 2.2.1 소득 income 소득은 경제상황과 함께 개인의 구매력(buying power)에 영향을 준다. 인플레이션 기간 동안 가격이 오르면 제품구매에 더 많은 지출이 요구되므로 구매력이 떨어진다. 개인소득의 증가는 자연히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소득층은 경제적 여건에 별로 영.. 2023.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