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4

제품정책 판매목적 또는 고객의 유형에 따른 분류 소비재 2.2 판매목적 또는 고객의 유형에 따른 분류 제품은 구매자들의 구매목적이나 그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의 유형에 따라 소비재와 산업재로 대별할 수 있는데, 전자는 최종소비자(개인이나 가계)의 소비 또는 욕구충족을 위해서 구매되는 제품을 말하며, 후자는 다른 제품의 생산에 사용할 목적으로 조직구매자들에 의해 구매되는 제품을 말한다. 때로는 같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두 가지 제품부류에 속하며, 따라서 상이한 제품전략이 요구될 수 도 있다. 예컨대, 문구류 제품은 최종소비자에게 판매될 수도 있고, 조직구매자에게 판매될 수도 있다. 2.2.1 소비재 consumer products 소비재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어떻게 생각하고 쇼핑하느냐에 따라 편의품과 선매품, 전문품 및 미탐색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편의품 co.. 2023. 7. 14.
시장세분화와 표적마케팅 통계 지리 심리분석 행위적 세분화 3.1 인구통계적 세분화 demographic segmentation 인구통계적 세분화는 연령, 성, 직업, 소득, 교육, 사회계층, 종교, 가족수, 가족수명주기, 출생률, 사망률, 인종, 국적, 이주패턴 등의 인구통계적 변수를 기준으로 전체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을 말한다. 마케팅관리자들이 흔히 인구통계적 특성을 세분화변수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 제 변수가 고객의 제품욕구와 구매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또 측정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자원과 능력은 이용되는 세분시장의 수와 범위에 영향을 준다. 또한 제품의 유형과 소비자 욕구의 이질성 정도는 특정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위한 세분항목(categories)의 수와 규모의 지침을 제시해 준다. 예컨대, 백과사전이나 사전류의 출판업자는 교육 수준.. 2023. 7. 11.
시장세분화와 표적마케팅 의의 시장세분화 개념 제1절 표적마케팅의 의의 앞 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케팅전략은 마케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마케팅 제 수단을 결정하여 마케팅믹스를 하며 마케팅활동을 추진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외부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기업을 유지·발전시키는 경영전략에서 마케팅전략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것은 구체적으로 시장경제에 대응하는 정책이다. 기업은 전략적 결정(strategic decision)을 행함에 있어 끊임없이 기업의 목적과 사명을 이해하고 기업의 존속과 성장을 위하여 외부환경의 동향에 적응하면서 마케팅전략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 기업이 경쟁시장에서 잠재고객들을 향해 취할 수 있는 마케팅방안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전체시장의 욕구를 동질적으로 보고 규모의 .. 2023. 7. 11.
마케팅 관리의 의의 기능 마케팅학회 3. 마케팅관리의 의의 마케팅관리(marketing management)는 글자 그대로 마케팅을 관리하는 것이다. 즉, 마케팅의 의의에서 본 마케팅 컨셉트(marketing concept)를 전략적인 차원에서 실현시키기 위한 계획 · 조직·지휘·조정 · 통제하는 것이다. 마케팅관리에 대한 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미국마케팅학회 AMA 마케팅관리란 마케팅활동을 계획 · 집행 · 통제하는 것으로 마케팅목적, 정책, 프로그램 및 전략의 수립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품개발 계획집행을 위한 조직편성과 배치, 마케팅활동의 감독 및 마케팅성 과의 통제라는 제 활동이 포함된다. 하워드 John A. Howard's) 마케팅관리란 마케팅 컨셉트에 입각하여 기업의 마케팅 측면(marketing aspect)에서.. 2023. 7. 10.